GBX/GBXT

블록체인 메인넷 GBX
생태계 교환거래 토큰 GBXT


지브릭은 완벽한 독자기술로 2019년. 독립형 블록체인 메인넷 시스템인 GBX(Gbrick's Blockchain Experiece)을 개발했습니다.
2019년 지브릭이 고속의 블록체인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한 협의 알고리즘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이 합의 알고리즘(LLFC)는 위임지분증명(DPoS; Delegated Proof-of-Stake) 
합의 알고리즘을 기본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디포스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되었습니다. 


LLFC 이전 단계
  • 요청 : 클라이언트가 트랜잭션에 대한 요청을 연결된 노드로 전송한다.
  • 단계0 : 각 노드는 자신이 받은 클라이언트의 트랜잭션를 네트워크에 전파한다.

LLFC 합의 단계
  • 제안 : LLFC의 첫 단계
  • 선택 : 각 노드는 자신에게 전파된 블록 중 하나를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선택하여 서명한다.
  • 확인 : 네트워크 쿼럼의 2/3 이상 서명된 선택된 블록이 있으면 해당 블록을 자신의 블록체인에 적용한다. 이때 블록은 이미 확정적이다. 적용한 블록에 서명한 서명을 수집하여 컨펌블록으로 전송한다. 이때 가장 서명이 긴 블록이 우위를 가진다. 노드들은 ⅔ 이상 서명된 블록 데이터로 자신의 상태를 업데이트 하여도 무방하며 서명의 길이는 GBIS 에서 평가를 위해 사용된다.

제안블록과 블록 보상
  • 블록 해시 : 각 노드는 자신의 제안 블록 해시를 만들때 자신의 서명과 임의의 논스값을 포함하여 생성한다. 모든 제안블록의 해시값은 다르게 된다.
  • 블록 선택 조건에서 동일 기준 발생 시 선택 충돌로 인하여 합의 라운드가 실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일 기준 블록의 경우 해시 우선 순위로 블록을 선택한다.
  • 기본 조건은 직전 블록 해시와 정렬 순서가 가까운 순서로 한다.
  • 경합 블록에 대한 보상은 거버넌스 합의에 따라 GBIS 에서 기록하여 처리할 수도 있으나 성능을 위해서는 권장하지 않는다.

쿼럼과 패널티
  • 쿼럼 : LLFC에서는 합의의 효율성과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위해서 균형있는 쿼럼을 유지하여야 하며 최소 쿼럼 미만이 될 경우 새로운 대표 노드를 선출하여야 한다. 합의 채널의 대표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규모에 비례하여 최대 쿼럼값은 변경될 수 있으며 합의된 내용은 블록에 기록된다.
  • 널티 : LLFC에서는 정상적인 합의 과정을 방해하는 노드의 행위에 대해서 페널티를 부과할 수 있으며 이는 페널티로 정의된 항목과 정상으로 정의된 항목을 벗어나는 행위 모두에 대해서 부과할 수 있다. 페널티는 대표 노드의 권한으로 예치된 지브릭의 차감을 통해 이뤄지며 예치금과 페널티의 항목 및 처리에 대해서는 메인넷 오픈 전에 합의한 내용을 공지하여야 한다. 해당 룰은 지브릭의 메인 블록체인에 정의되어 기록되며 대표 노드의 합의에 의하여 개정될 수 있다. 페널티로 예치금이 대표 노드 기준에 부족하게 된 노드는 자동으로 대표 노드의 자격을 상실한다. 이는 현재 참여한 물리적 노드 및 대표 노드 어드레스 모두에게 적용되며 대표 노드 자격을 상실한 주소는 다른 물리적 노드에 참여 권한을 부여할 수 없다.

거버넌스와 지분증명
  • 거버넌스 : 지브릭은 탈중앙화, 탈물리적인 거버넌스를 가지고 있으며 네트워크의 대표들은 고유한 주소로 자신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5] 지브릭의 새로운 규칙은 발의되면 반드시 블록에 기록되어야 하며 이 블록은 대표들의 서명을 포함함으로써 효력을 가지게 된다. 지브릭의 새로운 대표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에 대한 기여를 증명해야 하며 이 조건 역시 규칙으로 정의된다. 네트워크에 대한 기여는 GBIS 를 통해서 사전에 평가 받을 수 있다.
  • 리더부재 : LLFC에서는 일반적인 지분증명(PoS) 방식에서 이야기되는 리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더가 없는 합의 방식을 가지고 있다. 모든 합의 노드는 브로드캐스트된 트랜잭션 목록으로부터 블록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 제안블록은 다시 전체 합의 노드로 브로드캐스트 된다. 각 합의 노드들은 수집된 제안블록 중 가장 적합한 블록을 선정하여 서명을 추가하여 투표를 하게 된다. 이 때 동일한 블록 선택 알고리즘을 적용하게 된다. 제안블록 선택 알고리즘은 다음의 사항을 고려할 수 있다.
  • 네트워크 지연을 감안하여 전체에 가장 효율적이며 공통적으로 도착할 조건을 가질 것
  • 블록 생성 주기 시간 내에 합의 완료에 가장 적합한 블록일 것
  • 가능한 효율적으로 최대한의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있을 것

작업증명과정과 고속합의체계

알고리즘에 의한 증명은 해당하는 조건의 위조 및 중복된 조건의 제안 블록 발생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한 번 이상의 합의 라운드가 실패하는 경우 재시도되는 경우에는 최적 조건에 해당하는 블록이 더욱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GBX의 LLFC는 이러한 알고리즘 선택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논스증명 방법을 일부 활용한다. 제안 조건을 동일하게 만드는 시간, 트랜잭션 외에 노드가 임의의 논스를 추가하여 블록 해시가 중복 되지 않도록 한다.


  • 단 이 경우 작업증명(PoW) 방식의 논스 증명과 다르게 정해진 해시를 도출할 때까지 하는 것이 아니라 생성된 해시의 최적 조건을 다시 알고리즘으로 선택하게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LLFC는 리더가 없는 블록 생성과 선택이 가능하다. 
  • 모든 합의 노드는 추가적인 네트워크 메시지 없이 모두가 동일 블록을 선택하여 서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LLFC는 리더를 특정하지 않아도 되는 위임지분증명 기반의 합의 알고리즘이다. 
  • 특정 리더가 생성한 블록을 선택하는 대신 모든 노드가 발생한 블록 중 가장 적합한 블록을 알고리즘 우선 순위에 따라 선정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알고리즘 선정 우선 순위가 동일한 블록이 발생할 경우 작업증명 요소를 활용하여 노드간 네트워크 메시지의 추가 없이 공통 블록을 신청할 수 있다.
  • 알려진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 중 고속 합의에 최적화된 요소를 반영한 알고리즘으로, 동시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위임지분증명 방식의 약점을 최소화한다.

Smart Contract in GBX's Transaction System


Gbrick 생태계는 플랫폼 제공자가 제공하는 플랫폼의 인프라를 사용자의 네트워크망을 활용하여 공유하고
누구나 참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생태계를 지향합니다. 

GBX/GBXT의 스마트 컨트랙트 구조

 Copyright ⓒ Gbrick group / Holdings .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 9길 68 대륭포스트타워5차 706호

Add. #706, Daeryoomg Posttower5,  68, Digital-ro 9-gil, Geumcheon-gu, Seoul, Republic of Korea